We Request Homer Hulbert to be the Honorary Ambassador of Korea!
236 have signed
대한민국 정부
  • Min Jun signed 1 years ago
  • park su jeong signed 1 years ago
  • Kwon Meeae signed 1 years ago
  • Jong Bok Lee signed 1 years ago
  • 지원 김 signed 1 years ago
  • Siwon Park signed 1 years ago
  • Joowon Park signed 1 years ago
  • Yujeong Lee signed 1 years ago
  • Yowon Jung signed 1 years ago
  • 이 한슬 signed 1 years ago
On July 27th, 2022,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affiliated Korea Tourism Organization appointed virtual human ‘Lizzie Yeo’ as the Honorary Ambassador of Korea. Previously, famous celebrities such as soccer player Son Heung-min, K-pop singers ITZY, and EXO were nominated as Honorary Ambassadors.
The name ‘Lizzie Yeo’ came from Yeoheng (여행, Travel in Korean) and Taek'ri-ji, the Korean geography book. She advertises Korea’s beauty by promoting tourism, famous places, culture, and tourism hotspot through the official internation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YouTube channel.
This is not the first tim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ppointed a virtual human as the Honorary Ambassador.
Virtual human ‘Louie’ was also assigned as the Honorary Ambassador of Korea of the official domestic Korea Tourism Organization YouTube channel.
VANK requests the Korean government to nominate ‘Homer Hulbert’, one who promoted Korea to the world 100 years ago, as the Honorary Ambassador alongside Son Heung-min, K-pop singers ITZY, EXO, and virtual human Lizzie Yeo to represent Korea worldwide.
“Homer Hulbert” helped the world to know Korea more than anyone currently did.
He was devoted to spread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worldwide before international society recognized Korea like today.
Homer Hulbert published 20 books and 304 articles about Korean history, culture, and arts for the world to know. He was especially dedicated to fighting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fixing errors and biases toward Korea as a result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VANK request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nominate Homer Hulbert as the Honorary Ambassador of Korea.

-Main Achievements of Homer Hulbert: Korean History and Culture Promotion-

1886,
Came to Korea from the United States as a teacher at the government school, Yukyeonggongwon.

1889
Published the article, ‘Korean language’, on the -New-York Tribune-, letting the world know the excellence of Korean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1891
Created ‘Saminpilji’, the first Korean textbook in Korean history.

1896
Supported and edited ‘The Independent,’ the first Korean newspaper in Korean history.

1896
Transcribed Arirang on the Western scale,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1899 June
Publicized Korea’s brilliant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monthly -Harper's Magazine-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Introduced the five inventions of Korea, Hunminjeongeum, the Turtle Ship, metal movable types, suspension bridge, and Bomb Shell.

1903
Translated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into English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Korean surpasses English as a medium for public speaking.” -The Korea Review-

1905
Published the first Korean history textbook, The History of Korea, which spans from the Dangun to Gojong era, promot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to the world.

-Main Achievements of Homer Hulbert: Korean History Oversea Error Correction-

Was dedicated to fighting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fixing errors and biases toward Korea
as the result of Japanese Imperialism.

1882
Challenged famous historian Griffis with his book, -Hermit Nation-
for the distorted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Griffis wrote the book about Korea staying in Japan and never coming to Korea!”

1885
Requested correction on Percival Lowell’s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that Korea is not ‘calm’ but ‘radiant’.

1902
Opposed Griffis’ writing in the American magazine, -New England-, criticizing Griffis for referring to Korea as “the Pigmy Empire.”
Choson is not a ‘Hermit Nation.’
Griffis should write about Korea after visiting Korea!

1905
Visited America as the secret emissary of the Korean Empire and revealed the invalidation of the Protectorate Treaty.

1907
Acted as a Hague secret emissary in Netherland and publicized Japan’s invasion of Korea.
38 years of fighting for Korea’s national rights.
“I will stand for Korean people until I die.”

1949
His last words,
“I would rather be buried in Korea than in Westminster Abbey.” 


호머 헐버트를 대한민국 정부 "한국홍보대사"로 임명해줄것을 요청합니다.

2022년 7월 27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관광공사는 축구선수 손흥민 씨, 아이돌 ITZY(있지), 엑소(EXO) 등 유명 스타들이 맡아왔던 명예 한국홍보대사로 가상인간 '여리지'를 임명했습니다.

가상인간 '여리지' 이름은 여행의 '여'와 택리지의 '리지'를 합성해 만들었으며, 공사의 해외 홍보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국의 관광, 국내 유명 명소, 문화, 관광지 등 한국의 매력을 알립니다.

한국관광공사가 가상인간을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한 것이 여리지가 처음이 아닙니다.
가상인간 '루이'도한 한국관광공사 국내 홍보 유튜브 채널의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하였습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한국정부가 손흥민 씨, 아이돌 ITZY(있지), 엑소(EXO)등 한류스타뿐만 아니라 가상 인간인 '여리지' 를 전세계에 한국을 대표하는 한국홍보대사로 임명했듯이, 100년전 한국을 전세계에 알리는데 헌신한 "호머 헐버트"또한 한국홍보대사로 임명해줄것을 요청합니다.

"호머 헐버트"가 오늘날 한류 스타 이상으로 한국을 전세계에 알렸습니다.

무엇보다 오늘날처럼 국제사회가 한국을 주목하지 않았을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헌신했습니다.

호머 헐버트는 한국 역사, 문화, 예술등에 관한 20권의 단행본과 304편의 논문 및 기고문을 발표하며 전세계에 한국을 홍보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38년간 투쟁과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국제사회에 잘못 알려진 한국에 대한 왜곡된 역사와 편견을 바꾸는데 앞장섰습니다.

이에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호머 헐버트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한국홍보대사로 임명해줄것을 요구합니다.

<호머 헐버트 주요 이력: 한국역사, 문화 홍보분야>


- 1886년 미국에서 한국에 들어와 관립학교인 육영공원교사로 활동

- 1889년 미국 <뉴욕트리뷴>에 ‘한국어(Korean language)’라는 글 발표. 한국 역사 최초로 한글과 한국어의 우수성을 전세계에 홍보

- 1891년 한국 역사 최초로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저술.

- 1896년 한국 역사 최초로 한글 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돕고, 영문판 편집 업무 담당.

- 1896년 한국 역사 최초로 아리랑을 서양식 음계로 옮겨 전세계에 홍보

- 1899년 6월 한국 역사 최초로 미국 월간지 하퍼스에 한국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유산 소개(훈민정음, 거북선, 금속활자, 현수교, 비격진천뢰 한국의 5대 발명품 소개)

- 1903년 한국 역사 최초로 ‘훈민정음 서문’을 영어로 번역해서 해외 홍보 “한국어는 영어보다 대중연설언어로 더 우수하다” <한국평론>

- 1905년 한국 역사 최초로 단군시대에서 고종까지를 기술한 종합역사서 한국사The History of Korea 를 저술하여 한민족의 역사, 문화를 전세계에 알렸다.

<호머 헐버트 주요 이력: 한국역사 왜곡 시정 분야>

헐버트는 조선의 독립을 위한 투쟁과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국제사회에 잘못 알려진 한국에 대한 왜곡된 역사와 편견을 바꾸는데 앞장

- 1882년 유명 역사학자 그린피스가 출간한 영어책 <은둔의 나라(Hermit Nation)>를 대상으로 한국 역사에 대한 왜곡된 인식 시정활동! “그린피스는 한번도 조선에 와보지도 않고 일본에 머물면서 조선 관련 책을 썼다!

- 1885년 퍼시벌 로웰이 쓴 영어책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가 아니다! ‘서광이 비치는 아름다운 아침'의 나라로 시정해줄것을 요구

- 1902년 미국에서 발행된 잡지<뉴잉글랜드>그린피스가 한국을 난쟁이 제국으로 비하하는 글을 기고하자, “한국인을 마치 미개하고 지능이 낮은 열등민족으로 표현했다”며 반박글 기고
조선은 운둔의 나라가 아니다. 그린피스는 제발 조선에 와 보고 조선 관련 글을 쓰라!

- 1905년 대한제국의 밀사로 미국을 방문해 을사늑약이 무효임을 호소

-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로 활동, 일본의 조선 침략을 전세계에 고발하는 국제 여론 형성

- 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38년간 투쟁! “나는 죽는 날까지 한국의 독립을 위해 싸울 것이다.”

- 1949년 사망 유언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길 원하노라"